
퇴직연금 선택 시 확정급여형(DB형)과 확정기여형(DC형)중 임금상승률, 운용수익률, 임금피크제 등을 고려해서 어떤 제도를 선택해야 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또한 전환 시 유의사항을 잘 숙지하고 계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퇴직연금, 연금저축 비교 알아보러 가기 >> 목차 퇴직연금 DB형·DC형 선택·전환 시 유의사항 핵심포인트 1. "임금상승률"과 "운용수익률"을 비교하여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을 선택하세요. (임금상승률 > 운용수익률 : DB형, 임금상승률
근로
2022. 12. 30. 12:26

재직 중인 회사가 망하면 퇴직연금은 금융회사에서 청구하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내가 다니는 회사의 퇴직연금제도가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지 잘 숙지하고 계시기 바랍니다. 중견기업이나 대기업 또는 건실한 중소기업이 아니라면 회사에서 잘 설명해 주지 않습니다. 도움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내 퇴직연금 가입여부 확인하러 가기 >> 목차 퇴직연금 가입자가 알아야 할 권리 핵심포인트 5개 1. 소비자는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을 통해 퇴직연금(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폐업·도산 기업의 근로자는 금융회사(퇴직연금사업자)에 퇴직연금을 직접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기업(사용자)이 확정기여형 부담금 납입을 연체할 경우, 근로자(가입자)는 기업(사용자)에 지연이자를 청구..
저축/연금
2022. 12. 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