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우리나라 언론은 국제뉴스를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매우 의아합니다. 그저 국내 정치 갈등만 다루고 있습니다. 1월 무역수지 적자는 2008년 1년간의 누적 무역수지 적자액에 근접한 수치를 기록했고, 11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는 역대 최악의 경제상황임을 보여줍니다. 이럴 때일수록 세계경제 동향을 알아야 합니다. 총 4편에 걸쳐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종합편, 주요 국가별, 환율 및 금리, 원자재가격 순으로 기재합니다. 2023년 한국경제 위기론 바로가기 2023년 세계경제 동향 (종합편) 세계경제는 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향후 경기 불확실성도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국의 금리인산, 통화긴축, 물가에 대한 흐름과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한국경제분석 바로가기 금리인상 우크라이나..

이번에는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2023년 1월 최근경제동향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어느 경제분석 자료든지 기저효과 측면에서 1년 전과 비교하는 것을 권고해 드립니다. 이 자료를 보시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 종합 평가 ▶ 11월 산업활동동향 주요 지표는 광공업 생산, 설비투자, 건설투자는 증가, 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는 감소했습니다. 생산은 서비스업생산(전월비 △0.6%, 전년동월비 2.6%)이 줄었으나, 광공업 생산(전월비 0.4%, 전년동월비 △3.7%) 등이 늘며 全산업 생산(전월비 0.1%, 전년동월비 0.6%)은 증가했습니다. 지출은 소매판매(전월비 △1.8%, 전년동월비 △2.2%) 감소, 설비투자(전월비 1.0%, 전년동월비 11.0%), 건설투자(전월비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