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2023 예산안 국회통과 세부내용
여러 진통과정 끝에 2023 예산안이 국회를 통화했습니다. 세부사항을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우리가 납부하는 세금이 어디에 쓰이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국회심사결과 주요특징
1. '23년 총지출 규모638.7조 원으로0.3조 원 순감했습니다.
☞ 국회 심사 과정에서 -4.6조 원 감액, 3.9조 원 증액
2. 국가채무 1,134.8 → 1,134.4조 원으로 줄어드는 등 건전재정 기조를 견지했습니다.
3. 서민 생계부담 완화 및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위해+1.7조 원 증액했습니다.
4. 미래대비 및 안보안전 투자에도+0.7조 원 보강되었습니다.
☞ 9.7조 원 규모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신설
☞ 반도체 산업 투자(+0.1조 원)
☞ 3축 체계 관련련 전련 증강(+0.1조 원)
(용어정리)
3축 체계 : 유사시 북한 핵·미사일을 선제타격하는 '킬 체인'(Kill Chain), 북한이 쏜 미사일을 요격하는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 탄도미사일을 대량으로 발사해 북한을 응징하는 '대량응징보복'(KMPR) 체계를 가리킨다.
☞ 이태원 참사 관련 안전투자(+213억 원)등
5. 지역 현안 대응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에도+1.5조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 주요 국회 증액내용
▶ 민생경제 최약계층 지원(+1.7조 원)
1. 서민 생계 부담 경감
☞ 공공 전세임대주댁 공급물량 확대(+0.7만 호)
☞ 에너지바우처 지원단가 추가 인상(+19.5만 원)
☞[신규] 전문요양병원 건립 시법사업 지원
2. 보육·양육서비스 질 제고
☞ 0~2세 아동에 대한 기관보육료 및 장애아 보육료 추가 인상(+2% p)
☞ EBS 중학 프리미엄 강좌 무료서비스로 전환
3.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 공공형 노인일자리 확대(+6.1만 개)
☞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3,525억 원)
☞[신규] 최저신용자 대상 한시 특례 보증
▶ 미래대비 및 안보·안전 투자 강화(+0.7조 원)
1. 고등·평생교육 투자 강화
☞ [신규]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 신설(이관 8조 원 + 추가증액 1.7조 원)
☞ [신규] 지방대 별도 지원트랙 신설(2,500억 원)
☞ 노후화된 국립대 시설 전면 보수(+5,500억 원)
2. 반도체 산업 초격차 확보 지원
☞ 용인 평택 산업단지에 대해 기반시설 설치 지원(+1,000억 원)
☞ 반도체 교육 센터 신설 및 반도체 특성화 대학 확대(6→8개소)
3. 안보·안전 투자 강화
☞ 재난문자 발송하는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14조 원)
☞ [신규] 지역상생 장병특식 사업 신설(+253억 원)
☞ 참전명예수당 등 추가 인상(+179억 원)
▶ 지역경제 활성화(+1.5조 원)
1. 태풍 피해지역 지원
☞ 포항소재 중소·중견기업에 복구비 용도 긴급 융자 보증지원(+1,126억 원)
☞ 포항 철강산단 빗물펌프장 증설 및 항사댐 건설(+20억 원, 총사업비 900억 원)
2. 농산어촌 지원 강화
☞ [신규] 이모작 지원 확대 및 하계조사료 신규 지원(+401억 원)
☞가공유업체 국산원유 매입 시 리터당 200원 지원(+74억 원)
3. 기타 지역 현안 대응
☞ 고속도로, 철도 신규 노선 설계착수비·착공비 반영(+165억 원)
☞ AI·바이오·수소 등 분야 기술개발, 장비구축 등 지원(+230억 원)
▶ 부수법안 합의안
☞ 법인세 과세표준 구간별 1%씩 인하
[현행 법인세 세율]
☞ 금융투자세(금투세)
도입 2년 유예 → 대주주 기준유지, 거래세 단계인하
☞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공제액 9억 원 → 2 주택자 기본세율 적용
[현행 종합부동산세 세율]
☞ 경찰국·인사정보관리단 운영경비 50% 감액
☞ 체육 분야 예산 1조 6398억 원
생활체육 6331억 원·전문체육4393억 원 편성
국가대표 선수 훈련 수당 1일 7만 원 → 8만 원
스포츠클럽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68억 원)
전국(소년) 체전 해외동포선수단 및 고등부 출전 지원(31억 원)
2024 부산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지원(42억 원)
☞ 금융감독원 예산 3969억 원(올해 대비 4억 원 감액)
☞ 병사 월급, 사회진출지원금 포함(82만 원 → 130만 원, 약 58.4% 상승) 단, 병장월급기준
※ 2025년까지 단계적 인상
- 봉급(A) : 2022년 68만 원 → 2023년 100만 원 → 2024년 125만 원 → 2025년 150만 원
- 사회진출지원금(B) : 2022년 14만 원 → 2023년 30만 원 → 2024년 40만 원 → 2025년 55만 원
- (A + B) : 2022년 82만 원 → 2023년 130원 → 2024년 165만 원 → 2025년 205만 원
★ 尹 대통령 대선공약 후퇴 비판예상
● 취임즉시 이등병부터 군인 월급 200만 원을 올리겠다고 공약했지만 인수위 논의 후 국정과제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2025년까지로 단계적 상향'으로 후퇴했습니다.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결코 보호받을 수 없습니다."
'경제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한국 경제분석(수출, 소비자물가, 민간부채 등) (0) | 2023.02.09 |
---|---|
2023년 금융위원회 정책 추진방향 (1) | 2023.02.04 |
2023년 1월 최근경제동향(물가,재정,금융시장 등) (0) | 2023.01.15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통화정책방향 발표) (0) | 2023.01.14 |
다주택자 주택담보대출 허용, 양도세와 취득세 대폭 인하(2023 경제정책방향) (0) | 2022.12.22 |